맥북 유저들 대부분은 윈도를 사용하다가 맥으로 넘어온 사람들입니다. 이처럼 오랜 시간 윈도에 익숙해져 있어서 맥을 사용하면서 불편함을 많이 호소합니다. 그중에 하나, 맥은 메모를 작성하고 저장된 메모 파일(txt)이 파인더(탐색기)에 보이지 않습니다. 이 파일을 어디서 찾아야 하는 것일까요? 어떻게 이 텍스트 파일을 만들 수 있을까요? 알아보겠습니다.
◾️ 목차
1. 맥북(Mac) 텍스트 편집기 : txt 파일 저장하는 방법 2. 맥북(Mac) 텍스트 편집기 : Spotlight 활용해서 실행하기 3. 맥북(Mac) 텍스트 편집기 : 일반 텍스트 (TXT) 저장하는 방법
맥북(Mac) 텍스트 편집기 : txt 파일 저장하는 방법
1. 맥북의 왼쪽 하단에 있는 [런치패드(Launchpad)]를 실행합니다. 그리고 [기타] 폴더를 탭 합니다.
2. [텍스트 편집기]를 실행합니다.
3. [새로운 문서]를 탭 합니다.
4. 간단한 메모를 작성하고 저장합니다. 맥북 상단 메뉴에서 [파일] - [저장]을 하거나 단축키 command + S를 눌러 저장합니다.
5. 저장을 위한 옵션창이 뜹니다. 텍스트명, 위치, 파일 포맷 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일반 텍스트로 저장하는 포맷은 보이지 않습니다.
6. 여러 포맷으로 저장해봤습니다. RTFD, WEB, DOCX 등으로 저장이 가능합니다. 윈도와 호환하려면 DOCX로 저장하면 좋겠습니다.
하지만 txt 파일로는 저장할 수 없을까요?
맥북(Mac) 텍스트 편집기 : Spotlight 활용해서 실행하기
🏷 Spotlight 단축키 = Command + 스페이스키
1. Spotlight창을 실행합니다.
2. 텍스트 편집기를 검색해서 실행합니다.
맥북(Mac) 텍스트 편집기 : 일반 텍스트 (TXT) 저장하는 방법
1. 텍스트 편집기의 [환경설정]에 들어갑니다. 텍스트 편집기를 실행하고 맥북의 상단 메뉴에 보면 환경설정을 찾을 수 있습니다. 텍스트 편집기 환경설정으로 바로 들어가는 단축키는 [command + ,]입니다.
2. 환경설정 상단에 보면 파일의 포맷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 포맷을 [일반 텍스트]로 선택합니다.
3. 파일을 저장(command + S)하면 아래와 같이 파일 포맷이 [일반 텍스트 인코딩]으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이 상태로 그냥 저장하면 됩니다.